NLCS 11학년이 8월중에 시작하면 바로 다음해 5월에 진행되는 IGCSE 시험 준비를 해야 합니다.
Computer Science(CS)는 학생들이 쉽다고 생각하여 가장 많이 선택하는 과목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math, physics, bio등 의 과목에 밀려서 CS의 공부가 뒷전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CS 시험의 난이도는 그리 어렵지 않지만, 점수관리를 못해 어렵게 받은 다른 과목들의 높은 평균을 깍아먹는 주범이 되기도 합니다.
IGCSE Computer Science(0478) 과목의 시험은 2번으로 나누어서 보게 되며 2개의 페이퍼로 이루어집니다.
Paper #1 은 교과서의 앞부분의 이론부분을 커버하며 점수 배점은 75점 입니다.
교과서의 이론부분을 잘 이해하였다면 쉽게 갈수 있는 파트입니다.
Paper #2 는 교과서의 후반부 주로 알고리즘을 커버하며, 이 또한 75점 배점을 합니다. 페이퍼2는 50점의 알고리즘-이론 문제와, 25점의 알고리즘 실기문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2023년부터 알고리즘 부분을 강화해서 기존 50점보다 25점 배점을 더 하여 75점이 되었습니다.)
총 150점 만점에서 70%를 살짝넘은 110점 정도 점수를 받아야 A* 를 획득하게 됩니다.
점수를 얻기위해서 학생들마다 공부하는 방식이 다 틀릴것입니다. 다만 학교수업의 양이 적어서 내용의 이해보다는 시간만 많이 투자하여 억지로 외우는 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공부하는 방식이 대부분일것입니다.
IGCSE CS 시험도 전략이 필요합니다.
어느 파트에서 점수를 많이 주는지, 또는 쉽게 나오는지, 자주 나오는 문제가 무엇인지, 외우지 않고 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등등 알고 시험에 응한다면 시험이 매우 수월해질수도 있습니다.
11학년 시작 후 학교의 1월 MOCK 시험, 5월 IGCSE 본 시험 등의 스케쥴에 맞추어서 공부할 적절한 시기는 10학년 끝 여름 방학이며, 만일 여름방학때 대비 하지 못했다면, 적어도 10월부터는 준비해서 1월 MOCK 전에 마쳐야 합니다. 그 이후는 공부해야 할 다른 과목들이 많아서 CS를 공부해야 할 시간이 없어지게됩니다.
더늦기전에 시험 대비를 하시기 바랍니다.